왜 1식을 하는가?
20시간 단식까지 앞으로 1시간 25분
늘 시간을 기억하는 건 아니지만 되도록이면 일정한 시간에 공복을 가지고
일정한 시간에 먹도록 노력하는 편이다.
일정한 시간에 먹는 습관을 들이면 몸이 음식 들어오는 시간을 인지하여 보채는 법이 없다.
물론 밥을 1끼만 먹는다는 게 쉬운 일은 아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내가 1식을 한다고 하면 쌩으로 굶는 줄 알고 기겁을 한다.
내가 다신 게시판에 1식 관련 글을 올리고 나서 가장 많이 들은 말은
'1식을 평생 할 수 있느냐' 와 '건강 해친다'는 염려였다.
늘 하는 말이지만 나는 1식을 하기전에 많은 공부를 했다.
관련 서적을 5권이상 읽었으며, 각종 다큐 및 미디어를 섭렵하고 관련 논문을 공부한 사람의 블로그 글까지
샅샅이 공부했다.
지난 3년동안 늘 1식을 한 건 아니였지만 많은 시행착오를 통해
나에겐 1식이 가장 쉽고 잘 맞다는 것과 내 생활에 꼭 맞는 방법을 스스로 터득하게 되었고
더불어 큰 노력없이도 날씬하고 건강하게 살게 되었다.
1식을 평생 할 수 있냐고 묻는다면 내 대답은 당연히 'YES' 다.
건강을 어떻게 확신하냐 묻는다면 매년 건강검진에서 정상 판정을 받고 있고
탈모, 빈혈, 생리불순도 없으며(심지어 생리날자까지 매달 동일하다.거의 +- 1일)
라식수술을 한 지 10년이 넘었는데 다른 동료들은 나보다 훨씬 뒤에 한 동료들도 시력이 다 나빠졌는데
혼자 유지하고 있다.
심지어 내 직업은 매일 컴퓨터를 출근시간부터 퇴근시간까지 보는 사무직이며 스마트폰을 달고 사는데도 말이다.
무조건 1식을 하란 말이 아니다.
다만 선택의 문제일 뿐이다.
모든 사람이 3끼 소식하고 매일 운동할 수 있으면 누가 고민을 하겠는가.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이 그럴 수 없는 환경에 처해 있다.
혹자는 핑계라고 할 수도 있다.
하지만 그런 사람들은 대부분 자기 인생만 책임져도 되는 사람들이라고 본다.
나 역시 미취학아동을 키우는 직장맘으로 다욧한다고 내 생활만 챙길 수 있는 여건이 못 된다.
1끼면 어떻고 3끼면 어떤가?
결국은 하루 섭취량의 문제다.
다만 나는 1끼를 내가 좋아하는, 맛있는 음식으로 먹고 편하게 다욧할 수 있으며
심지어 공복시간에 더 건강해 질 수 있는 방법을 택한 것 뿐이다.
늘 기억해야 한다.
적게 먹고 많이 움직이며
먹었으면 움직이면 된다.
미친듯이 운동할 필요도 없고, 대충 소화될 정도로만 움직여 주고 다음날 좀 적게 먹으면 된다.
어려울 것이 없는데 많은 사람들이 불안감에 조바심내며 스스로를 학대한다.
좀 더 자신을 사랑하고 긍정적인 마음으로 다욧을 하면 좋을텐데 말이다.
함께 읽으면 도움되는 글
떡실신 네. 그렇게 히심 되요. 저도 처음에 공복시간에 꽤 집착했었는데 요즘은 배고픈가와 먹고 싶은가에만 촛점을 맞추니 오히려 편해요. 제가 꼭 지키는 원칙은 20시간 단식을 지키되 배고프거나 먹고 싶으면 먹는다입니다. 그렇게 마음 먹으면 쉽고 편해요.
정연효연 원래 빈속에 카페인은 금지인데 본인이 괜찮으면 괜찮지 않을까요?
다시한번 생각하게 하네요 이제 1식두달 체중이 줄지않아 조바심 내고있었는데 저한테맞는 1식방법을 찾아야할거같아요
내일 7시까지 먹을수없다는 생각에 배불러도 조금 더 조금만 더 하면 먹었는데 생각의 전환이 필요한거같아 요샌 굳이 매일 22시간 공복을 지키지 않으려해요
조금 배부르다 싶으면 그만 먹고 내일 22시간 공복전에 배고프면 먹을 수있다 생각하고 생각을 바꿔볼려고요
아침에 커피한잔은 마시는데 그건 괜찮죠?
저는 저녁을 5시반에 먹고 그다음날 아침은 생각이 없어서 거르면 점심을 12시반에 먹게되요 그럼 자연스럽게 18시간 단식하게되더라구요.
Cherryjin 화이팅!
한줄 한줄 모두 백프로 공감이에요!!!ㅜ
저도 평생 1식을 향하여!! 달려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