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날만 되면 식욕이 폭발해서 미쳐버릴 것 같아요. 나 같은 건 살아서 뭐하나 싶기도 하고요. 그냥 슬프고 우울했다가 또 화났다가 감정의 롤러코스터를 타요. 평소에 먹지 않았던 것들을 왕창 먹고 토하고 나서는 온 몸이 붓는 느낌이 들어서 사람들도 안 만..
우울증이 오면, 의욕도 쉽게 저하되고, 우울한 감정이 신체까지 영향을 미쳐 일상생활까지 송두리째 흔들정도의 큰 후폭풍을 불러 일으킬 수 있어요! 특히나, 특정 영양소가 부족한 경우에도 우울증 증상이 나타날 수 있어서, 평소 식습관을 점검해 관련 영양..
근육질의 멋진 몸매를 원하는 사람들에게 ‘단백질’은 필수 섭취 영양소지만요. 너무 과도하게 드시는 건 안돼요! 여러가지 좋지 않은 문제들이 나타날 수 있거든요. 그래서, 단백질을 먹을 때에도 다른 음식들처럼 적정량을 지켜 드셔야 한답니다. ..
‘일할 때, 커피 마시는 습관만큼은 진짜 안 고쳐지더라’ ‘안 그러고 싶은데, 밤에 혼자 있으면 라면이 계속 생각나’ 보통 우리는 건강이 중요하다고 생각하지만, 식습관이 만들어질 때는 건강보다 내가 편하거나 만족했던 방식으로 형성되는 경우가 많아요. ..
안녕하세요. 꽃수니 작가 입니다. 우리 몸의 세포는 매주 바뀌고, 1년이면 몸의 모든 세포가 새로워진다고 합니다. 그런데, 우리의 생각은 늘 살이 찐 상태의 의식을 가지고, 몸을 한결같이 바라봅니다. 내 몸을 새롭게 바라보고, 내 삶을 매일 새롭..
다이어트와 식욕조절에 너무 집중하다 보면, 배고픔을 느끼는 것 자체가 잘못된 것처럼 여겨지기도 합니다. 그렇지만, 우리가 배고픔을 느끼고, 식욕을 느끼는 것은 우리 몸에 꼭 필요한 현상입니다. 배고픔을 느끼지 못하면, 적절한 타이밍에 에너지 섭취..
사실 당은 우리 몸에 꼭 필요한 에너지원이에요. 우리 몸의 에너지를 상당부분 탄수화물에서 얻기 때문에, 여기에 속하는 당도 어느 정도 섭취를 해줘야 해요. 다만, 당 섭취를 과다하게 되면, 인슐린이 분비되고, 혈당이 저하되어, 다시 또 당 섭취를 하..
저번 시간에는 배부른 느낌을 주는 호르몬을 알아봤는데요. 배가 고프게 하는 호르몬도 있어요. 배고픔 호르몬이라고 하는 ‘그렐린’ 입니다. 1999년에 일본의 코지마 마사야스 등이 발견했습니다. 이 호르몬은 주로 위에서 만들어지구요. 음식의 섭취를..
찌는 듯한 더위가 계속되면서, 폭염 특보가 연일 내려지고 있어요. 올 여름 더위가 역대급으로 갈 거라는 예보가 이어지면서,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닌데요.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가 한창 유행인데다 폭염까지 겹쳐 건강관리에도 비상에 걸렸어요. 이..
같은 노력을 했는데, 혹은 더 많은 노력을 했는데도 체중의 변화 폭이 적어져서 속상했던 경험들이 있으신가요? 영양상담을 하다 보면, 이런 부분 때문에 속상해하시는 분들을 꽤 많이 만나게 됩니다. 결코, 내가 노력을 덜해서 그런 건 아닌데, 기대만큼 ..